
드디어 마지막 실전 프로젝트! 아이디어 회의부터 기획, API설계 중 7주간 자바스크립트부터 리액트를 거쳐 한번의 미니프로젝트, 클론 프로젝트 그리고 드디어 실전프로젝트이다. 우리는 스타트업이 아니라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획의 목적은 실제 서비스를 고려하기보다는 우리 팀원들에게 도전이 될만한 기술들을 써보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여행계획을 참여자들이 동시에 작성하는 서비스이다. 실시간 음성채팅 + 실시간 텍스트 편집 기능을 조합해서 구현하고자 한다. 그 계획에 지도 api는 간단하게 해결하고 넘어갈생각이였는데.. 지도 api도 꽤나 어려워보인다. 무엇보다 리액트에 적용하려니 아직 응용이 안되어서 일단 자바스크립트로 코딩하고 있다. 어찌저찌 검색기능에 이벤트 추가를 해서 적절한 데..

항해 처음 시작할때 매니저님들이 몰입에 대해서 많이 강조하셨다. 직접 해보니 알것같다. 주100시간정도의 몰입은 2주간 매주50시간 집중하는것과 다르다. 진짜 한 100시간정도는 넘어가야 '몰입'의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 같다. 학창시절에 알았다면 더 좋았을텐데 ㅋㅋㅋ 꿈꿀때도 코딩하고 잠꼬대도 데이터가 어떻게오냐고 중얼거리고 참 .. 얼마전에 블로그 이름을 이타적 프로그래밍이라고 바꿨다. 내가 이타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나 그렇게 하고있다는 자랑이 아니라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래밍을 하는 모든 순간에 이타적이어야 하고 모든 프로그래밍은 이타적이다. 그냥 하다보니 그런생각이 들었고 나보다는 사용자에게 집중하고 몰입하는 경험을 하고나니 나도 감히 한 1분쯤은 무아지경이란걸 경험하지 않았을까 ..

3주차만 해도 리액트가 너무 낯설었는데 1주일만에 이제 좀 친해진 느낌이다. 주특기 숙련주차에는 전역상태관리가 가능한 리덕스를 집중적으로 학습했다. 이번주 주특시 심화주차에는 리덕스를 더 파워풀하게 활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공부하고 있고, 청크 미들웨어를 사용해서 리덕스에서 비동기 처리를 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고, 불변성관리가 편한 immer도 사용해보고 있다. 다음주에는 불변성과 immer에 대해 심도있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이번주 WIL주제는 컴포넌트 라이프사이클과 리액트 훅이다. 1. 컴포넌트 라이프사이클 프로그래밍 개념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너무 추상적이라서 시각적으로 표현되면 참 공부하기 좋겠다. 생각하는데 이 라이프사이클이라는 주제만큼은 참 잘 나와있는 것 같다. 위 사진이면 이해가 ..

이번주는 알고리즘 기초1주차를 끝내고 드디어 리액트기초에 진입했다. 알고리즘 기초를 혼자하면서 뭘 배울수 있을지 살짝 걱정이 되었지만 약 45문제정도를 풀어보면서 수시로 콘솔에 찍어보고 기능을 구현하다보니 어느새 손에 익고 구글에 검색하는게 어색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기본적인 for,if는 수도없이 작성해봤고 배열과 문자열에 대한 메소드도 많이 공부하면서 자바스크립트로 기능을 구현하는데 많이 익숙해진 것 같다. 이번주는 map, forEach, filter, while, 3항연산자 등 다양한 메소드를 많이 배울 수 있었다. 리액트는 처음 시작하면서 엄청 어색했다. 바닐라자바스크립트로 유튜브 클론코딩도 해보고 꽤 많이 해보면서 익숙해졌는데 자바스크립트와 이렇게까지 다를줄은.. 가상돔 개념부터, 클래스형..

중복을 없엔다? Set이 생각나서 한번 해봤다. 아.. 그럼 뒤에 1도 중복이라서 없어지지? 그럼 일단 arr의 맨 앞 요소를 answer에 넣어두고 shift로 배열에서 제거하고 arr의 맨앞이랑 answer의 맨뒤를 비교해서 같으면 그냥 shift시키고 다르면 다시 answer의 맨 뒤에 넣고 shift하고 이걸 arr의 length가 0이될때까지 반복하면 되겠다! 이렇게 효율성 테스트에서 실패해서 알아보니 shift 가 문제인 것을 알았다.shift를 쓰면 배열의 앞에서 숫자를 빼고 뒤에 있는 숫자를 한칸씩 앞으로 당기는 과정이 있다. 인덱스 2번을 1로, 3번을 2로, 4번을 3으로, 계속 당기는데 만약 그 length가 문제에서처럼 1,000,000이라면? 그래서 효율성 테스트에서 실패했다. 그..

항해라는 이름을 참 잘 지은 것 같다. 물론 실제로 항해를 해본 적은 없지만, 진짜 항해를 하면 이런 느낌일 것 같다. 폭풍우가 겁나지만 결국 내가 이겨낼 것을 알기에 그 힘듦이 기대된다 해야 되나? ㅎㅎ 이번 주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금~토는 알고리즘 스터디를 진행했다. 알고리즘은 게임을 하듯이 정말 즐거웠다. 특히 "이상한 문자 만들기"라는 문제를 풀고 나서 map,forEach,3항연산자에 대해 배우게 되었다. 그 뒤로도 map, forEach, 3항연산자를 떠올려보면 코드가 짧아지고 문제가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았다. 미니프로젝트는 '센스 있는 개발자를 위한 아이템 추천'이라는 서비스 페이지를 만들었다. 첫 미니프로젝트에서 필수로 공부해야 할 개념은 서버사이트랜더링과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