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턴스 // app.ts class Singer{ name: string; age: number; singTitle: string; albumCount:number; printSingerInfo = (): void => { console.log(`${this.name}은 ${this.age}살이고, 현재까지 ${this.albumCount}개의 앨범을 냈습니다. 최근 ${this.name}가 낸 대표곡의 이름은 ${this.singTitle}이라는 노래입니다.`) } } let singer1:Singer = new Singer(); singer1.name='KSY'; singer1.age=26; singer1.albumCount: 7; singer1.singTitle: 'Dont know' singer..

Typescript는 Javascript의 Superset이다. 자바스크립트가 있는데 타입스크립트는 왜 만들어졌는가?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언어이다. 말은 좋아 보이지만 타입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뜻. 함수로 인자를 보내서 1+2를 하고 싶었는데 "1"+"2"가 들어가면 자바스크립트가 3이 아니라 12로 만들어준다. 이런 유연함이 편하긴 하지만 실제 서비스에서는 독이 된다. "1"과 "2"를 더하면 차라리 런타임 이전에 에러를 보여주는 게 개발자에게 더 좋을 것이다. 자바스크립트는 동적타입언어이기 때문에 타입이 런타임에서 결정된다. 즉, 타입에러가 런타임에서 발생한다. 런타임에 에러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자체가 멈춰버릴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는 정적타입언어이다. 즉 컴파일과정에 타입이 다 결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