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Navigation 2. Fetching Data 3. parsing the HTML 4. parsing the CSS 5. executing the Javascript 6. creating the accessibility tree 7. the Render Tree 단계 중 세 번째입니다. 두 번째 단계 Fetching Data에서 서버로부터 html을 받았습니다. 이제 서버로부터 받은 html 파일을 parsing(파싱)할 차례입니다. 파싱이란 무엇일까요? 파싱이란 한국말로 하면 '구문분석'인데요, 파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은 되지 않지만 알고 보면 적절한 단어인 것 같습니다. 단지 텍스트로 이루어진 파일(html)을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고 작업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JSON...

1. Navigation 2. Fetching Data 3. parsing the HTML 4. parsing the CSS 5. executing the Javascript 6. creating the accessibility tree 7. the Render Tree 단계 중 두 번째입니다. Navigation과정을 통해 서버와 통신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Data를 요청하는 순간입니다. 첫 요청은 Markup Document, 바로 HTML파일을 요청하는데, HTTP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HTTP 프로토콜은 HTML과 같은 자원을 가져오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것은 웹에서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반이고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입니다. 즉, 자원의 요청은 수신자에 의해 발생하고 이것은 ..

목적: 브라우저가 화면을 띄우는 과정을 다시 한번 정리한다. 이 글은 https://dev.to/arikaturika/how-web-browsers-work-part-1-with-illustrations-1nid 과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Performance/How_browsers_work 을 종합해서 번역했습니다. url 주소바에 방문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url을 입력하면 필요한 데이터를 웹서버로부터 전달받아서 화면에 표시합니다. 예를 들면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가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서버에게 첫 화면을 구성하는 파일을 요청합니다. 그리고 네이버의 웹서버는 네이버 첫 화면을 구성하는 html, css, js파일(프론트엔..